티스토리 뷰
목차
최근 읽고 있는 책, 강환국님의 '할 수 있다! 퀀트 투자'를 읽으며 퀀트투자 전략들에 대해 기억해둘 겸 포스팅 해보려고 합니다. ('저PER 혁명' 주도한 신진오)
*참고
MDD : 특정 투자 기간 중 포트폴리오의 고점에서 저점까지의 낙폭이 가장 큰 구간의 낙폭 값
CAGR : 연복리 수익률
1. 정률투자법
레벨 초급 스타일 자산배분 기대 CAGR '주식지수CAGR + 채권지수CAGE'의 평균 + 1% 매수 전략 총자산 중 50%를 코스피 지수에 투자하고, 나머지 50%는 국채 3년물에 투자 매도 전략 월 1회 리밸런싱(코스피50%, 채권50%로 재조정) |
정률투자법은 월 1회 리밸런싱해 주식과 채권에 각각 50% 맞춰주면 된다.
주식과 채권을 각각 50만원씩 매입한다. 1개월 동안 주식은 70만원으로 오르고(+40%) 채권은 30만원으로 떨어졌다면(-40%), 주식 20만원을 팔아 채권으로 사서 동일하게 다시 각각 50만원으로 조정한다.
2. 증액투자법
레벨 초급 스타일 자산배분 기대 CAGR 코스피 + 1~2% (20년 투자할 경우) 매수 전략 전체 자산을 3년채 국채에 투자, 국체에서 나오는 투자 수익을 코스피 지수에 투자 매도 전략 없음 |
3. 추세투자법
레벨 초급 스타일 자산배분 + 모멘텀 기대 CAGR 코스피 + 2~3% 매수 전략 3개월 이동평균이 상승 반전하면 코스피 지수 매수 매도 전략 3개월 이동평균이 하락 반전하면 코스피 지수 매도한 후 전액 현금 보유 |
4. 정액매수 및 점증평가 적립식
레벨 초급 스타일 자산배분 기대 CAGR 정액매수 적립식 - 코스피 + 1~2% 점증평가 적립식 - 코스피 +3~4% 매수 전략 정액매수 적립식 - 매월 일정액 주가지수 ETF 매수 점증평가 적립식 - 주식 평가액이 전월 대비 일정하게 증가하도록 주가지수 ETF 매수 매도 전략 없음 |
매달 100만원씩 적립 예정이라면,
정액매수 : 매달 100만원 동일하게 주가지수 매수
점증평가 : 첫달 100만원 매수한 뒤 다음달 80만원이 되었다면 120만원 매수, 혹은 120만원이 되었다면 80만원 매수
5. 추세-점증평가 전환 적립식
레벨 중급 스타일 모멘텀 + 자산배분 기대 CAGR 코스피 + 4~5% 매수 및 매도 전략 투자전략 4에서 본 점증평가 적립식 적용 : 주식 평가액이 전월 대비 일정액 증가하도록 매매 그런데 3개월 이동평균이 하락 반전하면 전부 매도 3개월 이동평균이 상승 반전하면 원래 점증평가 적립식으로 보유해야 할 금액을 매수해 점증평가 적립식 진행 |
3번과 4번 점증평가 적립식을 합친 전략.
추세가 나빠 전부 매도할 경우, 단기 국고채 보유. 추세가 좋아지면 점증평가 적립식 투자를 재개하면 된다.
6. 가치가중 포트폴리오
레벨 고급 스타일 자산배분 기대 CAGR 내재가치 측정 스킬에 따라 천차만별 매수 및 매도 전략 월 1회 리밸런싱 리밸런싱 시점에 보유하고 있는 금액의 '내재가치' 측정 모든 보유 주식의 내재가치/시가총액(V/P)을 계산 모든 보유 종목의 V/P를 합함 특정 주식 비중 = 주식의 V/P / 전체 포트폴리오의 V/P |
'내재가치 = BPS+EPSx10' 공식을 사용하여 종목 선정.
'자유를 위한 발악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관련주 당선확정 테슬라 비트코인 (0) | 2024.11.07 |
---|---|
주식 기본용어, 저평가 종목 찾는 4가지 방법 | ROE, EPS, PER, EV/EBITDA, PBR (0) | 2023.06.11 |
주식용어 ETF, ETN 뜻과 개념, 차이점 (0) | 2021.02.22 |
동학개미, 서학개미, 주린이 주식 신조어 뜻 (0) | 2021.02.08 |